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5

크신 일을 이루신 하나님께 (To God be the Glory) '복음송 작가의 여왕(Queen of Gospel Song Writers)', '미국 현대 회중 찬송의 어머니(Mother of modern congregational singing in America)'라고 불리는 패니 크로스비(Fanny Jane Crosby, 1820~1915)가 작사한 찬양입니다. 생후 6주 만에 시력을, 그리고 6살에 아버지를 잃은 그녀는, 8살부터 시를 쓰기 시작해 평생 8,000곡 이상의 찬송시를 썼다고 합니다. 크로스비는 200여 개의 가명을 사용해야 했는데, 찬송가 출판사들이 한 사람의 작품이 너무 많이 실리는 것을 주저했기 때문이었다고 하네요! 지금 우리 찬송가에도 그녀가 쓴 찬양은 21곡이나 실려있습니다. 31장 - 찬양하라 복되신 구세주 예수 40장 - 찬송으로 보답.. 2024. 2. 14.
모든 능력과 모든 권세 (Above All) 레니 르블랑(Lenny LeBlanc, 1951~)과 폴 발로체(Paul Baloche, 1962~)가 쓴 이 곡은, 2001년 마이클 W. 스미스(Michael Whitaker Smith, 1957~)의 16번째 앨범 에 수록된 노래입니다. 많은 신자들의 사랑을 받았고, 미국 가스펠 뮤직 협회(GMA, Gospel Music Association)가 주관하는 2002년 도브상(Dove Award) 시상식에서 '영감을 주는 올해의 노래(Inspirational Recorded Song of the Year)'로 선정됐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많은 사랑을 받았습니다. 제이어스도 불렀네요.십자가 고통 당하사 버림 받고 외면 당하셨네 짓밟힌 장미꽃처럼 나를 위해 죽으셨네 나의 주 Crucified, laid b.. 2024. 2. 9.
벌거벗은 세계사 사건편 _ tvN <벌거벗은 세계사> 제작팀 '1차 세계대전' 챕터에서 2019년 영화 을 떠올렸다. 경이로운 롱테이크 기법으로 촬영한 영화 초반부에서 관객은 마치 실제 참호 안에 있는 것 같은 느낌을 받게 되는데, 글에는 영화에 미처 담지 못한 참혹함이 있다. 아래는 책에서 요약한 '1차 세계대전으로 초래된 것들'. ㆍ 전투 관련 - 기관총 대량 사용 (대량 살상 가능) - 참호의 등장 (서부전선 참호 길이: 760Km) - (농업용 트랙터를 개량한) 탱크 실전 투입 - 독가스 사용. 그리고 방독면 기술 발달 - 공군 등장 - 잠수함 등장 ㆍ 사회적 변화 - 트렌치 코트 등장 (참호 안 방수기능 옷 대중화) - 손목시계 대중화 (회중시계를 꺼낼 여유가 없어) - 제네바 협약 (화학무기 사용 금지) - '에이스'라는 표현 등장 (우수 공군 전투기 .. 2024. 2. 8.
누군가 널 위해 기도하네 (Someone is Praying for you) 누군가 널 위하여 누군가 기도하네 네가 홀로 외로워서 마음이 무너질 때 누군가 널 위해 기도하네 Someone is praying for you Someone is praying for you So when it seems you’re all alone And your heart will break in two Remember someone is praying for you "성령도 우리의 연약함을 도우시나니 우리는 마땅히 기도할 바를 알지 못하나 오직 성령이 말할 수 없는 탄식으로 우리를 위하여 친히 간구하시느니라" (롬8:26) 성도들에게 큰 위로를 주는 찬송입니다.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기도 했고, 많은 목소리로 녹음되기도 했습니다. 그 중에 아래는 2009년 에 실린, 김수지(1973~)의 버전입니.. 2024. 2. 7.
벌거벗은 세계사: 인물편 _ tvN <벌거벗은 세계사> 제작팀 2020년 시작된 동명의 예능 프로그램은 지금 시즌3가 방송중이다. 인기에 힘입어 책으로도 발간되었고, 시리즈가 이어질 정도로 성공했다. 작가의 이름이 따로 드러나지 않는 점에서 일부 짐작할 수 있는데, 깊이나 정확도에 대한 검증은 불확실하다. 10대 초반 아이들에게 역사에 대한 관심을 갖게하는 목적이라면 훌륭. 아래는 나폴레옹(Napoléon I, 1769~1821)을 다룬 부분에서 뭔가 기시감이 느껴지는 장면. 굳이 지금과 다른 점을 꼽자면, 언론 스스로 권력(과 여론)을 관리하고 통제(하려)한다는 점. 나폴레옹은 권력을 유지하는 데 언론과 여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실제로 나폴레옹이 황제가 된 뒤 혹독한 언론 통제와 감시 속에 신문의 수는 점점 줄어들었습니다.. 나폴레옹은 언론만 막은.. 2024. 2. 6.
어떤 선택의 재검토 _ 말콤 글래드웰 우리나라에 소개되는 말콤 글래드웰(Malcolm Gladwell, 1963~)의 책은 빼놓지 않고 찾아서 읽는다. 최근 그의 책들에서 특유의 재기와 기발함이 보이지 않아 실망하던 차였는데.. "Malcolm is back!!" 책의 시작은 태평양 전쟁 막바지인 1945년 1월 마리아나 제도. 미군 폭격기 부대 지휘관이 헤이우드 핸셀(Haywood Shepherd Hansell, Jr., 1903~1988)에서 커티스 르메이(Curtis Emerson LeMay, 1906~1990)로 교체되는 순간부터다. '전쟁'이라는 무거운 주제에도 불구하고, 이 책은 아주 재미있다. 공군의 폭격에 대한 다음 상반되는 두 가지 시각을 흥미롭게 끌고간다. 1. 불필요한 희생을 줄이기 위해 더욱 정확하게 폭격 2. 전쟁을 .. 2024. 1.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