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65 주를 찬양 (세상의 유혹 시험이) 이 찬양은 우리나라 CCM의 선구자로 평가받는 '주찬양선교단'의 5번째 앨범(1995)에 수록된 곡입니다. 원제인 보다 첫 가사인 '세상의 유혹 시험이'가 더 제목같은 이 노래의 후렴 가사는, 역대하 말씀에서 인용한 것입니다. 역대하 20장에서 이방 연합군이 유다를 치러 옵니다. 당시 유다의 왕은 '여호와 보시기에 정직하게 행하였다'(32절)는 '드문' 평가를 받은 여호사밧이었습니다. 절체절명의 위기를 맞은 여호사밧과 유다 백성들이 여호와의 도우심을 간구할 때, 하나님께서 레위 사람 야하시엘을 통해 말씀하십니다. "너희는 이 큰 무리로 말미암아 두려워하거나 놀라지 말라 이 전쟁은 너희에게 속한 것이 아니요 하나님께 속한 것이니라" (15절) "이 전쟁에는 너희가 싸울 것이 없나니 대열을 이루고 서서 너희.. 2023. 12. 6. 주는 나를 기르시는 목자 이 찬송은 장수철(張壽哲, 1917~1966) 교수가 유학 중에 만든 곡조에 아내 최봉춘(1917~1998) 여사가 가사를 붙인 노래입니다. (이 부부는 우리나라 창작 캐롤의 고전인 '탄일종'도 만들었습니다. "탄일종이 땡땡땡..") 이 찬송 가사의 배경은, '시편 23편'입니다. 주는 나의 좋은 목자 나는 그의 어린 양 철을 따라 꼴을 먹여 주시니 내게 부족함 전혀 없어라 미국 무디대학교대학원에서 종교음악 박사 학위를 받고 귀국한 장수철 교수는, 한국선명회를 설립한 밥 피어스(Bob Pierce, 1914~1978) 목사의 요청으로 1960년에 전쟁고아들을 모아 '선명회어린이합창단'을 만듭니다. 이 합창단은 우리나라 음악 발전과 우리나라를 세계에 알리는 데 큰 공헌을 했고, 이를 인정 받아 장수철 교수.. 2023. 12. 5. 우리 때문에 (We are the reason) 는 1980년에 CCM 뮤지션 데이빗 미세(David Meece, 1952~)가 발표한 찬양입니다. 밴드 Avalon의 크리스마스 앨범 에 실린 버전으로 익숙하죠. 우리는 주로 고난주간에 부르는 노래가 왜 크리스마스 앨범에 실렸는지는, 첫 가사를 보면 알 수 있습니다. "As little children we would dream of Christmas morn" 우리말로 번역하면서 1절 도입부 성탄의 내용은 사라지고, 후렴 이후 고난과 죽음의 내용만 강조되었습니다. As little children we would dream of Christmas morn Of all the gifts and toys we knew we'd find But we never realized a baby born one .. 2023. 12. 4. 이 세상 끝날까지 (O Jesus, I Have Promised) '세상 끝날'이라는 제목이 주는 어감 때문일까요? 이 찬송은 뭔가 비장한 느낌을 줍니다만, 사실 이 찬송의 배경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비장'보다는 '애정'입니다. 이 찬송의 가사는 영국 성공회 신부였던 존 보드(John Ernest Bode, 1816~1874)가 1866년 두 아들과 딸의 입교식을 기념하여 쓴 것입니다. 자신의 신앙을 고백함과 동시에, 사랑하는 자녀들이 같은 신앙을 고백하기를 바라는 아버지의 마음이 담겨있죠. "나는 바담 풍해도 너는 바람 풍해라" 아이들을 키우면서 흔히 선의로 포장하는 말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알고 있습니다. 아이들이 '바람 풍' 하게 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어른들이 먼저 '바람 풍'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가정이나 교회의 신앙 교육도 마찬가지겠죠. 좋은 프로그램.. 2023. 11. 30. 하늘 가는 밝은 길이 찬송가 493장 는 장례식장에서 부르는 찬송이라는 인식이 있죠.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이 찬송에서 '성도의 죽음'을 떠올립니다. 하지만, 이 찬송은 오히려 '성도의 삶'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어려움 가운데에도 하나님 나라에 대한 소망을 품고 사는 '삶'에 대한 찬송입니다. 각 절 가사를 보면 그 이유를 알 수 있습니다. - 1절: 슬픈 일, 늘 고생 - 2절: 염려하는 일, 근심과 걱정, 늘 시험 - 3절: 쉬고 싶음, 부족함 이 찬송의 가사는 로지어(J. H. Lozier, 1832-1907)의 이라는 시를 소안론(蘇安論, William L. Swallen: 1865~1954) 선교사가 번안한 것이라고 전해집니다. 하지만 원시를 보면 소안론 선교사가 새로 지은 시라고 해도 무방해 보입니다. ▶ 가사 .. 2023. 11. 27. 내 한 가지 소원 (One thing have I desired) 시편 27편은 다윗의 시입니다. 여호와께서 '빛', '구원', '생명의 능력' 되심을 고백하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여호와는 나의 빛이요 나의 구원이시니 내가 누구를 두려워하리요 여호와는 내 생명의 능력이시니 내가 누구를 무서워하리요" (1절) 이어지는 내용을 보면, 다윗이 왜 이런 고백을 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악인들이 내 살을 먹으려고 내게로 왔으나 나의 대적들, 나의 원수들인 그들은 실족하여 넘어졌도다" (2절) 그래서 다윗은 평안을 노래합니다. "군대가 나를 대적하여 진 칠지라도 내 마음이 두렵지 아니하며 전쟁이 일어나 나를 치려 할지라도 나는 여전히 태연하리로다" (3절) 이어서 다윗은 하나님께 한 가지를 구하는데, 그것은 인생의 성공이나 부요가 아니었습니다. "내가 여호와께 바라는 한 가지.. 2023. 11. 8. 이전 1 ··· 7 8 9 10 11 다음